작년 의약품 부작용 보고 23만건 – ‘해열진통제’ 가장 많아
[시사리포트=이준우 기자] 지난해 당국에 보고된 의약품 부작용 등 안전성 정보가 전년보다 15%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
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보고된 안전성 정보는 22만8천939건으로 집계됐다. 이는 2015년 19만8천37건에서 15.6% 증가한 수치다.

안정성 정보는 약국이나 보건소 등을 통해 부작용 정보를 수집하는 지역의약품안전센터와 제조·수입업체, 병·의원, 소비자 등이 보고한다.
효능군별로는 해열진통소염제(13.6%), 항악성종양제(9.3%), 항생제(8.1%), X선 조영제(8%), 합성마약(7.8%) 등 상위 5개가 전체의 약 47%를 차지했다. 이 순위는 지난해와 동일했다.
식약처는 2012년 이후 보고된 안전성 정보를 토대로 통계학적 분석과 전문가 자문을 거쳐 부분발작 보조제인 ‘프레가발린’ 등 16개 성분 제제(503개 제품)의 허가 사항에 이상 반응을 추가한 바 있다.
식약처는 “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확대와 부작용 보고 활성화 정책 등이 보고 건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”며 “보고되는 안전성 정보는 의약품 개발과 국민의 안전에 중요한 만큼 의사나 약사 등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도 적극적으로 정보 제공에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.
의약품 부작용 등 안전성 정보 보고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(☎1644-6223, http://open.drugsafe.or.kr/)과 전국 지역의약품안전센터에 하면 된다.
(webmaster@sisareport.com)
<저작권자Ⓒ 시사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>
kjh69
Latest posts by kjh69 (see all)
- 北, 협력·적대청산 대남기조로 – 교류·軍신뢰구축 속도 내나 - 2019년 1월 24일
- 한국게임 세계 점유율 4위 – 수출 80.7% 증가 - 2019년 1월 24일
- 홍남기 부총리 “여의도 2.4배 면적 유휴 국유지 개발… 공공주택 2만호” - 2019년 1월 23일